1. 묘호란?
묘호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아시아 문화권의 왕조 국가로 황제나 왕 등 군주에게만 부여되는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후 태묘(또는 종묘)에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됩니다. 두 글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자는 시법에 따라 군주의 치세와 업적을 나타내는 시자로 그 뒤에 조 또는 종을 더한 종호입니다. 군주와 신하에게 바치는 열호와는 달리 묘호는 종묘에서 그 위패를 합사한 군주만이 얻을 수 있는 미칭입니다. 원래 무덤의 이름은 개국 군주처럼 공적이 큰 소수의 군주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칭호입니다. 그래서 중국 고대 왕조의 상대부터 한대까지 묘호를 가진 군주는 많지 않았지만, 모든 군주의 위패가 점차 태묘에 모셔져 일반화되면서 중국 당나라 이후 거의 모든 군주가 붙여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당나라 이후 중국 군주들은 글자 수가 많고 복잡한 열호를 주로 묘호로 대체합니다.
한국의 경우 삼국시대의 일부는 묘호에서 본 호칭을 사용했는데 존호나 열호와 비슷합니다. 삼국 중 유일하게 공식 묘호를 사용한 왕은 신라 태종무열대왕입니다. 그러나 통일신라시대에 제후국의 종묘 제도인 오묘제가 확립되고 고려시대 외왕내제 제도가 정착되면서 묘호와 종법 제도가 본격적으로 전해졌습니다. 이후 원의 내정 간섭으로 묘호가 상정되지 않았고, 이전에 재위했던 군주들도 모두 격하되어 조선시대부터 다시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후손이 되면 중국과 한국 모두 묘호의 본래 취지를 잃고 자손 군주는 조상의 왕에게 묘호를 높이 들어 자신의 정통성을 확립하는 수단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2. 구성 원칙
묘호는 군주의 치세를 나타내는 시자와 종호, 두 글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자는 시호를 지을 때 쓰는 시법에 따라 뒤를 이을 군주와 신하들이 결정해 위로 올라갑니다. 보통 시법은 고대 중국주공 단이 제정한 시법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종호는 조 또는 종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결정합니다. 묘호 중 종호는 고대 중국의 사회 제도 종법제에서 유래한 것으로 선왕의 아들이자 현왕의 형제인 봉토가 최초로 황제로 책봉된 사람, 별자를 조, 후손인 별자의 장남을 종, 별자의 차남을 포함한 다른 아들, 즉 중자를 소종이라고 합니다. 또 다른 아들을 직접 물려받은 사람은 불천위라고 불리며, 그 위패를 다른 사당에 모시지 않고, 단순히 조상의 혈통에 의해 계승된 사람이 5대가 넘으면 다른 사당에 모셔져 있습니다. 부처의 천위를 모신 종이 5대를 넘어 종묘에서 물러난 종보다 격조가 높았고, 이러한 혈연, 수직적 계승 관계가 형성되어 주조에 이르러 종법의 기본체제가 갖추어졌습니다. 이 제도가 점차 열호 제도와 결합하면서 종호 앞에 시인들이 가세하면서 왕실에서 확립된 것이 묘호입니다.
묘호에는 종호를 지을 때 세 가지 원칙이 있는데, 가장 중요한 원칙은 나라를 세운 왕에게 조를 붙이고 선왕의 뜻을 이어받아 나라를 다스린 왕에게 종을 붙이는 것입니다. 이는 '타인이 조상이 되고 자손이 종이 된다'는 원칙과 일맥상통합니다. 이어서 후손이 되어 모든 군주에게 묘호를 붙일 때는 '공이 있으면 조, 덕이 있으면 종', 즉 구국의 공이 있으면 '조'를 쓰고 덕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자는 '종'을 쓰고 마지막으로 '새롭게 일어나면 조, 계승하면 종'의 원칙을 적용하였습니다. 이전 왕통이 절단되고 신방계 출신 왕이 즉위하자 조를, 선왕의 자리를 계승하고 대대로 왕위를 계승하면 종을 사용합니다.
잘 알려진 묘호로는 국가를 수립하기 전에 견고한 군주에 기반을 둔 태조 또는 고종, 국가의 기초를 닦은 태종 또는 세조, 국가를 발전시켜 다시 일으킨 세종 또는 고종, 국가를 위기에서 구해내거나 맥을 잃은 왕통을 다시 바로잡는 중종 등이 있습니다. 원래 묘호가 성립된 초기에는 재위치국뿐만 아니라 나라를 위해 특별한 공덕을 남겼으며 억조창생이 그 공로를 기려 추앙받을 때 태묘에 모셔졌기 때문에 치국 군주 중 소수만이 받을 수 있는 영예로운 칭호입니다. 그러나 후세에 재위한 모든 황제를 태묘에 모시고 묘호도 함께 모시기 시작했습니다.
3. 조선의 묘호와 시호, 존호
조선의 임금을 일컬어 태조, 태종, 세종, 영조, 정조 등으로 부르는데, 이런 명칭을 '묘호'라고 부릅니다. 묘호라는 것은 임금이 죽은 뒤에 그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인 "종묘"에서 사후의 왕을 칭할 때 사용하는 명칭을 뜻합니다.
조선 왕들의 묘호는 조 또는 종으로 끝나게 되는데, 이것들은 모두 중국에서 들여온 호칭입니다. 중국은 당나라 때부터 죽은 황제에게 이런 묘호를 붙였습니다. 우리나라는 고려시대부터 이런 묘호를 받아들여 제도화하여 도입하였습니다. 물론 고구려의 제6대 왕이 태조였고, 신라에도 태종무열왕이 있었지만, 삼국시대에는 종과 종을 붙이지 않고 00왕이라는 표현 방식으로 칭하였습니다.
왕조 국가는 모두 궁 안에 선대 왕들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을 만들어 놓았으며, 삼국시대에도 당연히 묘호가 존재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 민족의 위대한 왕 중의 하나로 꼽히는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정식 명칭은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입니다. 현재까지 고구려의 왕 중에서 왕릉의 비석이 발견된 유일한 고구려의 제19대 왕인 광개토대왕으로, 그 비문에는 정식 명칭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조선의 경우에는 왕들의 정식 명칭이 이것보다 더 긴 편이었는데, 모두가 잘 알고 있는 우리나라 최고의 성군이자 한글 창제 등의 무수한 업적을 남기신 위대한 왕, 세종대왕의 정식 명칭은 '세종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입니다.
묘호는 대체로 정식 명칭의 가장 앞부분에 붙습니다. 따라서 광개토대왕의 묘호는 '국강상'이고, 세종대왕의 묘호는 '세종'이 되는 것입니다. 고구려 광개토대왕과 조선 세종대왕의 정식 명칭을 그 뜻대로 나누어 알아보면 이렇습니다.
-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정식 명칭인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을 나누어 보면, 국강상은 묘호로서 왕릉이 위치한 지명을 뜻하고 광개토경은 존호로서 신하들이 왕의 업적을 기리는 이름으로 영토의 경계를 넓히고 열었다는 뜻입니다. 평안은 시호로서 신하들이 죽은 왕에게 올리는 이름인데, '평안'은 나라에 평안을 가져다주었다는 뜻입니다. 호는 시호이고, 태왕은 일반적으로 고구려의 왕에게 붙이는 접미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조선 세종대왕의 정식 명칭인 '세종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을 나누어 보면, 세종은 묘호로서 종묘에 올리는 이름을 뜻하고, 장헌은 시호로서 중국 명나라 황제가 내려준 이름입니다. 영문예무는 존호로서 신하들이 올린 이름으로 학문에 영특하고, 병법엔 슬기롭다는 뜻입니다. 인성명호는 시로로서 세종대왕의 아들인 문종이 올린 이름으로 인자하고 뛰어나며 명철하고 효성스럽다는 뜻입니다. 대왕은 왕을 높이는 접미사입니다.
이렇게 왕의 정식 명칭은 너무나도 길고 복잡하게 표현되어 있어서, 가장 앞부분인 묘호만 따서 부르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광개토대왕은 국강상왕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 방법인 것입니다. 하지만 '삼국사기'에서 광개토왕이라고 부른 탓에 관습적으로 그리 부르고 있고, 실제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광개토대왕이라는 표현을 훨씬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식 명칭에 함께 쓰인 시호는 왕이나 신하가 죽은 왕 또는 신하에게 올리는 이름을 뜻하고, 존호는 신하들이 왕의 업적을 기억하기 위해 올리는 이름인데, 많은 사람들이 세종만 대왕으로 불리고 있다 생각하지만, 사실 당시 조선의 모든 왕들은 전부 '대왕'으로 불렸습니다. 묘호와 시호 그리고 존호만 알면 길고 복잡해 보이는 왕의 이름도 어렵지 않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