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y

조선 정조 (1)

반응형

반응형

정조(조선 제22대 왕)

 

정조(생애 : 1752년 10월 28일 ~ 1800년 8월 18일, 재위 : 1776년 4월 27일(음력 3월 10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은 조선 제22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입니다. 성은 이, 휘는 산 또는 성, 본관은 전주, 자는 형운, 호는 홍재입니다.

정조의 나이 11세 때 아버지 장조(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었고, 할아버지 영조는 돌아가신 효장세자의 양자로 원적 하여 왕통을 계승했습니다.

1775년부터 1776년대까지 할아버지 영조를 대신하여 대리청정하였습니다.

1776년 영조가 승하하여 왕에 즉위하였으며, 1800년까지 재위한 조선 22대 왕이었습니다. 재위 초기에는 홍국영에게 강력한 실권을 부여하는 세도 정치를 하였으나 1780년 홍국영이 실각한 후 친정을 하였습니다.

즉위 후 정약용, 채제공, 안정복 등 권력에서 배제된 소론과 남인계 인사들을 정계에 재발탁함과 동시에 노론 청명당의 원칙론자인 김정수 선생과 돌아가신 유척기 문하 학생들을 특별히 중용하였습니다. 소론은 생부 장조(사도세자)의 죽음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노론 벽파와의 갈등이 향후 예술작품의 소재가 되었지만, 정조는 오히려 벽파당수 심환지 등을 총애하여 측근으로 삼았습니다.

재위 기간 왕권 강화에 힘써 친위부대 장용영 창설, 자신의 저서 홍재전서 등 문집과 법전 재개, 수원 화성 건립 등을 추진했습니다. 무술뿐만 아니라 유학의 각 경전에도 정통하여 경연장에서 대신들에게 강의하였다고 합니다.

그는 조선 후기 중흥기를 이끈 대표적인 군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홍국영을 기용하면서 측근 가신들이 정사를 좌우하는 폐단을 남겼고, 붕어 직전에는 어린 세자를 걱정하여 안동 김씨 김조순의 딸을 세자비로 삼았으나 힘이 한쪽으로 기울면서 자업자득이 되어 세상 정치의 배경이 되었습니다. 윤지춘 사건(신해 박해) 이후 노론 벽파의 공세가 강화되면서 노론 내 소수파인 북학파 박지원 등의 글을 활용하여 문체반정 등 필화사건이 일어나 검토서를 쓰도록 하였습니다.

원래 묘호는 정종이며, 사후에 시호는 문성무열성인장효대왕, 존호는 장휘로 되어 있으며, 이후 묘호는 정종에서 정조로 바뀌었고, 대한제국 때에는 선황제로 추대되어 존호를 붙여 정조경천명도홍덕현모문성무열성인장효선황제로 정식 시호가 되었습니다.

 

1. 출생

정조는 1752년 10월 28일 영조의 차남인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 사이의 차남으로 창경궁 경춘전에서 태어났습니다. 형인 의소세자가 세 살의 나이에 먼저 일찍 죽은 뒤에 태어났기 때문에 생일날 영조에 의해 원손이라고 불렸습니다. 의소세자의 장례식이 3년이 지나 세손 책봉이 되었습니다.

1755년(영조 31) 영조는 어린 원손이 겨우 4세였음에도 여전히 총명하여 대신들 앞에서 경전을 읽게 하였습니다. 원손은 '신체발부수지부모불감'이라는 열 글자를 암기하고 '부모' 두 글자를 썼습니다. 그 후 영조는 원손이 한번 본 사람을 구분해서 지목하거나 글씨를 쓰는 것도 여러 번 칭찬했습니다. 1757년 영조가 직접 글씨를 읽고 글자를 골라 원손의 이름을 지었습니다.

영조는 김종수를 세자의 교리로 글공부를 가르치도록 지시하였고, 1761년 4월 14일(영조 37년, 음력 3월 10일) 성균관에 입관하였습니다.

 

2. 사도세자의 죽음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는 1749년(영조 25)부터 영조 대신 청정으로 대체되었다고 합니다. 그때 세자의 나이는 열다섯 살이었습니다. 영조는 세자에게 대리청정을 맡겼지만, 그의 일 처리에 대해서 세자를 비난하고 왕의 자리를 내주겠다고 거짓말을 했고, 세자는 홍역에 걸린 상태에서 돗자리를 펴고 사죄했습니다. 정조가 태어난 1752년(영조 28) 영조는 아픈 와중에도 사도세자로부터 탕약을 받지 못해 불편한 마음을 표현했습니다.

사도세자는 아버지 영조와의 불화로 심리적 위기를 겪었습니다. 장인 홍봉한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심각한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으니 몰래 약을 섞어 보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심리학자 강현식은 사도세자가 우울증이라기보다는 조울증과 감정 통제 불능의 심리 상태이며 숙종, 영조, 정조에 나타난 가족 유전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사도세자는 노론 홍봉한 가문을 처족으로 맞이하였으나, 청정을 대신하여 소론에 우호적이었고 노론과 충돌을 거듭하여 영조와의 불화를 초래하였습니다. 그리고 관서행, 서연에 참여하지 않거나 기녀들과 풍류를 즐기는 등 문제 있는 행동도 많이 했습니다.

영조 자신이 경종 때 노론의 힘을 빌려 왕세제가 되어 즉위했기 때문에 영조의 탕평책도 노론의 입장을 감싸줄 수밖에 없었습니다.

1762년(영조 38) 윤오월 영조는 사도세자를 폐지하고,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어 놓고, 사도세자는 뒤주에 갇힌 지 8일 만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윤오월 13일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히기 직전 무겸선전관 이석문이 어린 세손을 업고, 수문장들을 밀어내고 궁궐로 들어갔습니다. 어린 세손이 할아버지 영조에게 아버지를 살려달라고 간절하게 청했으나 강제로 끌려나갔고, 윤숙, 권정침 등이 세자를 살려달라 항소했지만 거절당했습니다.

영조는 사도세자가 죽은 후 그를 복위시키고, 사도라는 시호를 주어 장례를 치렀습니다. 장례를 치른 지 얼마 되지 않은 8월 26일 사도세자의 장인 홍봉한이 상소를 올려 사도세자의 죽음이 질병으로 인한 부득이한 일이라 하였고, 영조는 금등고사를 언급하며 더 이상 언급하는 것을 금지하였습니다.

반응형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정조(3)  (0) 2024.01.17
조선 정조(2)  (0) 2024.01.17
세종대왕의 치세 (2)  (0) 2024.01.10
세종대왕의 치세 (1)  (0) 2024.01.10
세종대왕의 생애  (1) 2024.01.10